미국 빅테크 기업 애플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안전놀이터에 시가총액 기준 세계 최대 상장사 자리를 내줬다.
11일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아람코의 시가총액은 약 2조4300억달러(약 3117조원), 애플의 시가총액은 약 2조3700억달러(약 340조원)였다. 미국 방송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아람코는 2019년 12월 기업공개(IPO)로 시가총액 세계 1위 기업이 됐지만 이후 2020년 8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부양 혜택을 본 애플에 밀려 이번에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올해 초 애플 시가총액은 한때 3조 달러대까지 치솟아 아람코를 1조 달러 웃돌았다. 다만 이후 애플은 시가총액이 20% 가까이 줄어든 반면 아람코는 약 28% 증가했다.
이날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애플 주가는 5.18% 급락했다. 최근 경제 변화로 인해 두 회사와 관련 업계는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유가 급등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석유주가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아람코의 주가는 상장 이후 최고 수준이고, 연초 배럴당 78달러 수준이었던 브렌트유 가격은 100달러 이상으로 올랐다. 미국의 경우 올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에너지 부문이 40% 급등했고, 올해 S&P 500주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 기업은 107% 상승한 석유기업 옥시덴탈 페트롤리엄이다.
반면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0년 만에 최고 수준인 물가상승률에 대응해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을 강화하면서 기술주와 성장주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성장세를 유지하고 재무제표가 탄탄한 애플의 경우 사정이 나은 편이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지수는 올해 24.8% 하락해 애플보다 낙폭이 컸다.
가능성이 높아진 것 같다. CPI에서 어떤 점을 짚어봐야 할지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두 가지를 봤다. 첫 번째는 지난달 CPI가 8.5%로 나왔다는 점이다.
다만 3월 시장 전망치를 보면 국제유가는 배럴당 135달러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금 보면 국제유가가 100달러대로 내려갔다. 그러면 에너지 가격에 대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간 낮아지면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할 것이다. 제가 이런 기대를 했었으니까 픽아웃이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내 마음속으로는 지난달에는 8.5%였는데 이번에는 8% 안팎이 시장에서 예상됐다.
다만 이 금액이 얼마 나왔는지 따져보면 8.2%가 나왔다. 메이저놀이터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조금 높게 나왔다.
그러면 큰 차이가 없을 거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어요. 중요한 것은 피크아웃보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수준이 더 중요하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2%이다.
목표는 연 2%의 인플레이션이다. 지금 8.5%는 너무 많아요. 그래서 미국에서는 CPI가 점차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예컨대 매달 0.5%씩 떨어지고 있고, 매달 0.2%씩 떨어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가격이 너무 느리게 떨어질 때 2%에 이르면 올해 말에는 불가능하고 내년 말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다가 물가가 매우 오랫동안 높게 유지되면 실물경제가 느끼는 압박감은 매우 크지만 더 무서운 것은 물가상승인데, 이는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가격이 오를 우려가 있다면 앞으로 쓸 것을 끌어다 놓고 가격이 오르기 전에 써야 한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이미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미래를 끌어당겨 소비한다면 오르는 가격을 잡기 쉽지 않을 것이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심리가 최대한 고착되는 것을 막겠다며 매번 FOMC 때마다 계속 거론한 이유다. 조금 내려가지 않았나요?
이 부분에 대해 시장이 조금 아쉬워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연준이 속도를 늦추거나 그렇게 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런 것들이 있는데 이게 사실 어제 뉴욕증권거래소에 약간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